아이비리그엔 학비 벌려고 일하는 학생 없다
[중앙일보] 입력 2019.02.14 00:06 수정 2019.02.14 00:59
미국 대학 성적장학금 없앤 이유
하버드대 “좋은 성적 자체가 보상”
장학금을 저소득층 지원에 집중
한국서도 고려·서강대 등 도입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2/14/c0a4adc6-b32a-409f-a5b3-fc454d880aaa.jpg)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렇다 보니 저소득층뿐 아니라 중산층도 장학금을 받는다. 한국처럼 대학 등록금이나 생활비를 벌기 위해 학업을 소홀히 하는 일은 찾아보기 힘들다. A씨는 “도서관 등 학교 안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친구들도 있지만 대부분 여행 등 개인적인 이유 때문에 하는 것이지 학비 때문에 일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하버드대처럼 성적장학금을 없애고 저소득층 혜택을 늘리는 것은 미국의 다른 대학들도 마찬가지다.
유학 컨설팅 회사인 세쿼이야그룹의 박영희 대표는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 장학금을 주는 것(Merit Scholarship)보다 필요한 사람에게 지원하는 ‘니드 베이스’(Need-based) 시스템이 미국 대학의 기본 입장”이라며 “다른 나라도 장학금 제도가 사회적 약자 등 ‘필요한 사람에게 준다’는 식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에서도 이런 흐름이 확산되고 있다. 2016년 고려대가 제일 먼저 성적장학금을 모두 없애고 저소득층 학생들의 등록금을 면제해 주거나 생활비를 대주는 방식으로 바꿨다. 서강대도 2018년부터 성적장학금을 없애는 대신 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지원하는 다산장학금에 전액 배정했다.
홍후조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는 “장학금이 처음 생겨난 배경은 성적에 대한 보상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능력은 있지만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돕기 위한 것”이라며 “학교의 지원을 받은 학생들이 훗날 모교에 공헌할 수 있는 제도를 함께 마련하면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jeon.minhee@joongang.co.kr
--------------------------------------------------------------------------------------------------------------------------------------------------------------------------

--------------------------------------------------------------------------------------------------------------------------------------------------------------------------
미국 주립대 in-state 장학혜택을 받는 Wise Way 장학생으로 선발되면
1년에 700 ~ 800 만원 정도의 학비가 듭니다.
여기에 기숙사비와 보험료등을 합치면
1년에 1,800~2,000 만원 정도가 되어,
국내 사립대학 수준의 학비로 미국 주립대에 유학할 수 있습니다.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뜻한 하루] 체력을 길러라 (0) | 2019.03.15 |
---|---|
[머니s] 시총 톱10 임원 출신대학, SKY캐슬보다 '여기' (0) | 2019.02.18 |
[따뜻한 하루] 기회의 문은 밀어야 열린다 (0) | 2019.01.29 |
[연합뉴스] 올해 대학졸업 예정자 10명중 1명만 정규직 취업 '성공' (0) | 2019.01.21 |
롤모델이 운명을 바꾼다 (0) | 2018.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