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교協, 국내 대학들 조사"사제 간 소통, 美의 절반"]
-미국 학생들은
67% "학업 성과 피드백 받아" 58% "교수와 친밀감 느낀다"
-한국 학생들은
38% "피드백 전혀 안 받아" 16%만 "교수가 공감해 준다"
경남 지역 A대 영문과 2학년 박모(20)씨는 지난 1년간 강의 시간 외에 교수 얼굴을 딱 한 번 마주했다. 대학본부에서 교수들에게 1년에 한 번씩 꼭 하라고 한 '상담 시간'이었다. 그때도 교수는 "어디 취업할지 빨리 정해라" "토익·토플 성적을 꼭 빨리 따둬라"는 '뻔한 취업 조언'만 했다.
"교수님들은 항상 바쁜 것 같아 뭘 물어보러 연구실에 가기도 어려워요. 교수님이랑 소통이요? 리포트 써내면 'B+' 이렇게 써주는 게 다죠. 저는 영어가 좋아서 영문과 왔는데, 1학년 때부터 취업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만 들으니까 영어에 흥미가 없어졌어요."
"교수님들은 항상 바쁜 것 같아 뭘 물어보러 연구실에 가기도 어려워요. 교수님이랑 소통이요? 리포트 써내면 'B+' 이렇게 써주는 게 다죠. 저는 영어가 좋아서 영문과 왔는데, 1학년 때부터 취업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만 들으니까 영어에 흥미가 없어졌어요."
연구진은 지난해 경희대·연세대·한동대·카이스트 등 국내 37개 대학 학생 2만5764명을 설문조사했다. 같은 해 미국의 1010개 대학 학생 33만여명을 대상으로 한 NSSE 조사와 대부분 같은 내용이었다.
'대학 교육의 질'을 가장 잘 보여주는 항목은 '교수와 학생 관계'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대학은 이 부분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학업 성과에 대해 교수에게 피드백을 받았느냐'는 질문에 한국 대학생 38%가 "전혀 안 받는다"고 했다. 38%가 "가끔만 받는다"고 했고, "자주 피드백을 받는다"는 학생은 24%에 그쳤다. 미국 대학생은 67%가 "자주 피드백을 받는다"고 했다. 마찬가지로 한국 대학생의 절반(48%)은 "교수와 독서 내용 등 수업 이외 부분에 대해 토론해본 적이 전혀 없다"고 답했다.
한국 대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도 미국 학생들보다 낮았다. 수업 중 교수에게 질문하거나 토론에 자주 참여하는 대학생은 39%에 그쳤다. 절반(52%) 이상이 가끔만 참여한다고 답했다. 미국은 수업 때 적극적으로 발표하고 토론한다는 학생이 74%에 달했다.
한국 학생들은 교수가 만나기 쉽고 도움이 되고 자기에게 공감도 해준다는 응답이 15.9%밖에 안 됐는데, 미국 학생은 이런 응답이 58%였다. 전반적으로 한국 대학생들이 교수나 동료 학생 등과 인간 관계에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배상훈 교수는 "대학들이 취업률 높이기와 외형 키우기는 강조하면서 정작 학생들을 잘 가르치는 것은 소홀히 해왔다"며 "교수들이 학생 한 명 한 명에게 관심을 갖고 교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더 자세한 사항은 www.lamiwell.com을 방문하세요~^-^*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 세계대학평가] 난양工大(싱가포르)·홍콩科技大 급부상… 아시아, 공학·과학서 美英 맹추격 (0) | 2013.05.14 |
---|---|
SAT 5월 한국 시험 취소...“문제 유출” (0) | 2013.05.14 |
입학금 상위대학(2013년도) (0) | 2013.05.14 |
<호주달러 급등에 호주 유학생·연수생 '비명'> (0) | 2013.04.12 |
하버드대 총장 "학비 걱정 말고 와달라" (0) | 201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