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AI 를 이용한 부정행위, 교육에 미치는 영향 🤖

안녕하세요 와이즈웨이입니다. 🤖

 

최근 몇 년 사이에 ChatGPT와 같은 AI챗봇 및 AI 도구의 급속한 확산이 학교 교육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학생들이 이 강력한 도구를 이용해 과제나 에세이를 빠르게 작성하고,

심지어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런 사례들을 살펴보고, 우리 학생들이 챗GPT를 어떻게 안전하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그리고 미국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과 학부모 입장에서 어떤 교훈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최근 발생한 AI 부정행위 사례 3가지

 

1. 첫번째 사례: 미국 노던 미시간대학교

 
 

출처: "미국 대학 철학과 학생, ChatGPT를 이용한 에세이 표절 적발" (Futurism, 2023.01.19.)

https://futurism.com/college-student-caught-writing-paper-chatgpt

노던 미시간대학교의 철학 교수 앤서니 아우만은 학생들의 과제를 리뷰하던 중, 유독 잘 작성된 에세이가 제출된 것을 발견했습니다. 면담을 해본 결과, 학생은 ChatGPT를 사용했다고 자백했습니다. 아우만 교수는 학생에게 과제를 다시 쓰게 했습니다. 현재 많은 미국 대학들은 AI 도구 사용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일부 대학은 ChatGPT의 사용을 아예 금지하고 있으며, 표절 탐지 기술의 발전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아우만 교수는, 미국 대학 및 대학원의 교수들은 AI 도구가 교육에 미칠 영향을 인식하고, 표절 탐색기도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2. 두번쨰 사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출처: "ChatGPT로 에세이를 쓴 UNSW 학생, 시험에서 낙제" (Mail Online, 2023.01.30.)

https://www.dailymail.co.uk/news/article-11688905/UNSW-student-fails-exam-using-OpenAIs-ChatGPT-write-essay.html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UNSW)의 한 학생은 OpenAI의 ChatGPT를 사용해 에세이를 작성하고 이를 제출했지만, 결국 시험에서 낙제하게 되었습니다. 교수는 학생의 제출물에서 비정상적으로 완성도 높은 글을 발견하고, AI 도구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표절 탐지기를 사용한 결과, ChatGPT 사용이 드러났습니다.

3. 세번째 사례: 미국 A 대학교

 

출처: " 미국 대학교 컴퓨터공학 학생, AI로 과제 코드문제 해결" (Washington Post, 2023.01.19.)

https://www.washingtonpost.com/education/2022/12/28/chatbot-cheating-ai-chatbotgpt-teachers/

미국 대학의 한 컴퓨터공학 학생은 과제에서 ChatGPT를 사용했다고 고백했습니다. 학생은 컴퓨터공학 용어를 정의하는 문제를 입력하자, AI가 즉시 제공한 답을 그대로 제출했다고 밝힌거죠. 이 외에도 코드를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자 AI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AI는 완벽한 코드까지 만들어줬다고 합니다. 이 학생은 부정행위가 반복될 경우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고를 받았습니다.

시사점

 

교수들은 AI로 작성된 콘텐츠와 학생들의 글을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학문적 정직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일부 교육기관은 AI 도구를 감지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학생들에게 손글씨 과제를 요구하는 등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여러 대학의 교수들은 오픈북 방식으로 집에서 하는 과제를 점차 폐지하고, 수업 중에 진행되는 과제나 손글씨로 작성된 과제, 그룹 작업, 구술 시험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미국 및 해외 대학들이 AI 도구의 부정 사용이 계속될 가능성을 우려하면서, 이를 막기 위해 AI 탐지기(detector)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우리가 배울 점

첫째, 학생과 학부모는 AI 도구의 사용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ChatGPT는 작문을 할 때 편리한 도구일 수 있지만, 과제에서 부정행위로 이어질 위험이 큽니다. 이는 학생의 학문적 정직성을 해칠 수 있고, 자칫하다가 낙제나 퇴학 처벌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ChatGPT를 사용한 에세이는 학생의 실제 실력이나 작문 스타일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둘째, 교수들과 교육기관들은 AI 도구를 감지하는 표절 판독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AI 사용이 쉽게 들통날 수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합니다.

셋째, 학생들은 학습의 목적을 잊지 않고, AI 도구를 비판적인 사고를 하기 위한 보조적인 학습 도구로 활용해야 합니다. 학생과 학부모 모두 AI 사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응이 필요합니다.

와이즈웨이 15년의 역사속에서 많은 학생들이 미국 주립대에 장학생으로 입학해 전과목 A (Straight A / All A) 를 올리고 졸업후에는 미국 현지에서 취업했으며, 이중 영주권을 받은 학생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와이즈웨이에서는 학생의 에세이를 써주는 것이 아니라 ,

지속적인 첨삭을 통해 학생들의 Writing 능력을 높혀 주기 때문입니다.

매달 새로운 주제를 주고, 이를 수정~첨삭~재수정~재첨삼의 과정을 3~4 차례

계속하는 동안 학생들의 Writing 능력은 무한대로 높아지고

이러한 수업은 매달 학생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다른 주제로

계속됩니다. ^^

이제 미국 유학은 학비가 비싼 유수 대학에 진학하는 것 자체가 목표가 되는 시대가 아닙니다.

미국 현지에서 취업하고, 가능하면 영주권을 받아 정당한 대접을 받으며 생활하고, 추후 커리어를 인정받으며 귀국하는 것을 선택할 정도의 유학이 되어야 합니다.

다음 설명회는 아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받으실 수 있으며,

참가를 원하시면, 아래 [참가 신청서] 를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lamiwell.com/bbs/write.php?bo_table=sub16

미국 주립대 in-state 장학 혜택을 받는

Wise Way 장학생으로 선발되면

1년에 700 ~ 800 만원 정도의 학비가 듭니다.

​​

여기에 기숙사비와 보험료 등 제반 경비를 합쳐

1년에 1,900~ 3,000 만원 정도가 되어,

국내 사립대학 수준의 학비로 미국 주립대에 유학할 수 있습니다.

"와이즈웨이 장학생에 대한 미국 취업 특별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

<<135회 설명회에서 인터뷰하는 안*빈 장학생 (25기, 조지아텍 박사과정

전액 장학생) >>

인터뷰 동영상 보기 클릭 :

https://www.youtube.com/watch?v=xmQPmSOSOuI

<<와이즈웨이 25기 안 * 빈 장학생의 케니소 주립대 석사 학위 수여식>>

미국주립대 장학 유학과 미국 현지취업에 관련된 정보를 찾으신다면,

와이즈웨이 홈페이지(http://www.lamiwell.com/)참고해 주세요!

 

미국 주립대 장학생 진학 문의나 상담을 원하시면

02-2118-8311 / 070-8658-8322 로 연락주세요^^.

정성을 다해 도와드리겠습니다^^.

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sJqCrCAc

 

라미웰

#미국주립대장학유학 #와이즈웨이

open.kakao.com